그랜저 IG 하이브리드 단점 및 고질병 종류 미리 알아두세요

정숙한 드라이빙감 부족함 없는 옵션등으로 현재까지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보이고있는 차량이 바로 그랜저 IG 하이브리드 차량입니다.모든 차량이 그렇듯 단점, 고질병이 존재하고 마찬가지로 그랜저 IG 모델에도 몇몇가지 보입니다.구입 전 해당 글을 간단하게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현대 그랜저IG 하이브리드 차량


◼︎ 그랜저 IG 하이브리드 단점

글을 쓰기 앞서 참고로 그랜저 IG 차량은 다른 차량들에 비해서 비교적 적은 단점을 가지고있습니다.그래도 구입 전 해당 내용에 대해 궁금증이 있는 분들이 있을것 같아 정리했음을 알려드립니다.

◇ 좁아진 트렁크 공간

하이브리드 모델 트렁크 하단에는 배터리팩이 들어가기 때문에 가솔린 모델에 비해 좁은 트렁크 공간을 갖고있습니다.일상적으로 마트 장을 보거나 간단한 물건을 싣을때는 불편함이 없지만 큰 박스, 골프백 여러개 등을 넣을때는 다소 답답함을 경험하게 됩니다.

참고로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은 차량 후미에 대부분들어가기 때문에 중고차를 구입할때 뒷부분 사고이력이 크게있다면 정밀점검을 받는게 좋습니다.펌퍼 단순교체 같은 사항은 크게 문제가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 높은 유지보수 비용

보통 15만km 이상의 주행거리에서 부터 차량 보수 비용이 점차적으로 들어가기 시작하는데 하이브리드 관련 시스템을 정비하게되면 공임이 복잡하고 부품비용도 높은편 입니다.

연비가 높고, 옵션이 좋으며 승차감 장점을 갖고있지만 그에 따르는 노후화 수리비용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15만km 이상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감가를 크게 맞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순간 가속력 저하

가솔린 내연기관 그랜저 IG 모델에 비해서 공차중량이 더 나가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치고나가는 부분에서 딸리는것이 체감될 수 있습니다.평소 속력을 내는 스타일 이시라면 약간의 답답함을 느끼게 됨으로 자신의 운전습관에 맞게 모델을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연비 저하 현상

하이브리드 모델을 구입하는 주된 이유는 연비인데 14만km 이상이 넘어가는 구간에서 배터리효율이 빠르게 하락하는 경향이 있고 리터당 19km ~ 20km 까지 무난하게 나오던 부분이 16km대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랜저IG 후면모습


◼︎ 그랜저 IG 고질병 리스트


◇ 엔진룸 체인커버 미세누유

차량을 구입하기 전 보닛을 열어 미세누유가 발생되고 있진않은지 반드시 체크를 해야합니다.고질적으로 체인커버 누유 현상이 10만km 부근에서 발생되곤 하고 모르고 매입을 했다가 큰 수리비(100만원 내외)를 지출하게될 수 있습니다.

◇ 전면 쇼바

공차중량이 나가는 모델이고 쇼바 수명이 비교적 짧다는점을 감안해야 합니다.8만km 이상되는 차량이라면 반드시 시운전을 할때 방지턱 부분을 넘어봐서 ‘찌그덕’, ‘뚝’. ‘덜그럭’ 등의 소음이 발생되진 않는지 체크를 해야합니다.

잡소리가 조금이라도 올라온다면 정비를 마친 상태의 차량을 구입 해야하는데 보통 쇼바가 나가면 로어암, 스테빌라이저 등의 부품도 함께 교체가 들어가기 때문에 100만원 비용이 쉽게 넘습니다.


◇ 어라운드뷰 화면 끊김

고질적으로 주차 시 활용되는 어라운드뷰 화면이 송출되지 않거나 끊기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배선이 끊기거나 접속불량의 이유로 인해 해당 문제가 발생되는 것 인데 여러번 P 기어로 두어 어라운드뷰 기능을 확인해야 합니다.

◇ 스티어링휠 잡소리

핸들을 크게 돌릴때마다 ‘기릭’, ‘스르륵’ 하는 잡소리가 나는 경우가 생각보다 빈번하게 있습니다.동시에 에어백 경고등이 들어오기도 하는데 핸들 클락스프링 이라는 부품을 교체하면 잡소리 및 에어백 경고등 문제가 잡히곤 합니다.

◇ 단단하지 못한 브레이킹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이 들어가면서 무게 배분이 내연기관과 달라지고 기본적으로 중량이 더 나가는 점을 고려해 브레이킹 능력을 좀더 보강했어야 한다는 오너분들의 의견이 많습니다.

고속주행을 하다가 브레이킹을 할때 차량이 약간 밀리는감이 없지않아 있어 뭔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평이 있는 것 입니다.일부 오너분들은 별로도 사제 부품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을 보완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