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오일 광유 합성유 차이 교체주기 및 에어클리너 중요성

주기적으로 엔진오일만 잘 교체해줘도 15년 이상 차량엔진의 컨디션을 아주 좋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엔진오일은 크게 일반광유 와 합성유로 분류를 해볼수 있는데 나름의 장단점을 모두 갖추고있어 상황에 맞게 잘 적용하면 무리없이 자동차 관리가 충분히 가능합니다.

자동차 엔진


❖ 광유 엔진오일 특성 및 교체주기


우리가 알고있는 원유에서 차량 엔진에 맞게끔 정제를 시킨것이 광유입니다.합성유에 비해서 점도나 흐름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어느 정비소에서나 쉽게 접할수 있는 장점도 갖고있습니다.

점도가 다소 떨어지는 이유때문에 출력이 높은 차량은 맞지않고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금세 오일의 흐름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앞당겨지게 될수 있죠.

◇ 광유 교체주기

차량 브랜드에서 제시하는 엔진오일 교체주기 주행거리에서 대략 70% ~ 80% 사이 정도에 교환을 해주는게 좋습니다.생각보다 오일 윤활성이 오래유지가 안되는 이유로 인해 1만km 부근에 가까워져도 엔진 노킹 현상과 진동이 심화되는 현상을 체감하게 되죠.


❖ 합성유 특징 및 교체주기


원유에서 정제시킨 오일에 기능성에 맞는 화학합성을 시킨 엔진오일 이라고 보면 됩니다.합성 비율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오일의 흐름성 및 고온을 견디는 내열성 차이가 발생되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심하게 발생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 광유 오일에 비해 뛰어난 엔진 내부 코팅 및 보호기능이 있어 오랫동안 출력성능을 떨어트리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다만 광유에 비해 가격이 높다는 큰 단점도 갖고있죠.

◇ 합성유 교체주기

워낙 다양한 브랜드가 있고 어떤 화학조합이 되어있느냐에 따라 수명 차이가 발생됩니다.그래도 아무리 저렴한 합성유를 교체한다고 하더라도 광유에 비해 교환주기가 길며 대략 1만km 내외까지는 무리없이 적용가능합니다.


엔진룸 내부 에어필터

❖ 에어클리너 중요성


흔히 엔진오일의 기능성을 떨어트리는 원인으로 카본슬러지 또는 금속가루 등을 생각하게 되는데 사실 에어클러너가 지대한 영향을 주게됩니다.엔진내부로 깨끗한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는데 2만km 부근에 가까워지면 클리너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못해 먼지 불순물이 들어와 오염을 빠르게 시키게 됩니다.

2만km 이상이 지난 에어클리너는 사실상 필터링 기능을 상실하게되고 엔진오일을 말그대로 샌딩오일로 변화시켜 실린더, 피스톤의 마모를 빠르게 불러오게 되는것 입니다.때문에 엔진오일 교체주기만 생각할게 아니라 반드시 에어클리너 교환주기도 체크를해 교환을 해주는게 아주 중요합니다.

엔진오일만 제때 바꿔주고 에어클리너를 그대로 방치면서 아무리 합성유라고 하더라도 8천km 이내에 윤활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야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