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급발진 고장 발생시 대처방법 절차 순서

과거 전자부품이 거의 들어가지 않던 시절의 자동차에서는 급발진 사고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지만 2000년 중반을 기점으로 하여 각종 편의장치가 추가됨에 따라 오류로 인한 급발진 사고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급발진 고장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특정 모델이 있기는 하지만 모든 차량 오너 분들은 제동을 안전하게 하기위한 방법을 숙지하고 있는것이 좋습니다.

다이얼 기어변속기


◼︎ 자동차 급발진 고장원인

대부분의 차량 제조사에서는 급발진 고장 사고에 대한 내용을 쉬쉬하고있고 민감하게 다루고있습니다.현대시대의 자동차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이라고 불릴만큼 각종 전자장치, 편의장치 옵션이 빼곡히 들어가 있으며 각각 유기적으로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전자장치중 일부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자동차 두뇌에 해당되는 ECU 쪽에 잘못된 명령을 내려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음에도 빠른속도로 가속이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 입니다.전자신호에 의한 가속이 일어나는 상황이기 때문에 운전자는 최대한 물리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제동을 걸어줘야 합니다.


◼︎ 급발진 고장 사고 대처 행동요령


(1) 가속페달 확인

급발진 사고에서 생각보다 많이 실수를하는 부분이 운전자 본인이 인식하지 못하는사이 가속페달을 브레이크 페달로 오인하고 계속 밟고 있는것 입니다.RPM이 갑자기 상승하면 나도모르게 당황을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게되는 반사심리 때문입니다.순간적으로 양발을 페달에 떼내어 RPM이 떨어지고 속도가 감소 되는지 체크를 합니다.

(2) 기어 N(중립) 넣기

본능적으로 기어를 D에서 N으로 변경을 해줘야합니다.평소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을 돌리며 생각해둬야 바로바로 행동으로 옮길 수가 있고 기어 위치를 N으로 놓는 것 만으로도 급발진이 멈추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3) 브레이크 페달 한번에 밟기

전자장치의 오류 고장으로 인해 급발진 고장을 일으켰을때 운전자는 물리적인 수단을 이용해 한번에 제동을 시도해야 합니다.브레이크 페달을 1회 아주 강하게 밟아줘 차량이 멈추게끔 해야합니다.엔진이 굉음을 일으키며 최대출력을 내고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약하게 여러번 브레이크를 밟게되면 제동도 걸리지 않을 뿐더러 유압에의해 브레이크 페달이 먹통되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4) 사이드 브레이크 채우기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아 조금씩 속도가 줄어들고 있는 타이밍에 사이드 브레이크를 한번에 채워 줍니다.너무 빠르게 가속이되는 상황에서 사이드 브레이크를 채우면 차체가 돌아가 주변 장애물과 추돌이 일어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어 어느정도 속도가 감소될때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GV80 내부 모습


◼︎ 고속도로 급발진 대처법

건물, 사람이 없는 고속도로에서 급발진이 일어났다면 위 방법 순서대로 시행을하고 그래로 차량이 멈추지 않는다면 양옆의 가드레일에 천천히 붙어 마찰에 의해 제동이 걸리도록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가드레일 마찰로인한 차량파손이 일어날 수 있지만 급발진이 한번 발생되면 정말 무섭게 최대치까지 속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모든 수단을 활용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