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배터리 방전 원인 대처방법 및 점프 순서

시동을 걸어 차량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내부 전원이 전혀 들어오지않고 버튼시동, 키시동이 작동되지 않을때는 배터리 방전이 발생된것 입니다.방전의 정도가 심할때는 도어가 열리지 않기도 하는데 배터리 방전 원인 과 대처방법, 교체비용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단자


◼︎ 자동차 배터리 방전되는 원인


◇ 실내등 점등

차 시동을 끄고 내릴때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지 않으면 실내 미등이 들어오게 되고 8시간 이상 시간이 지나게 되면 배터리 방전이 발생될 우려가 있습니다.배터리의 컨디션에 따라 그전에 방전되는 경우가 있고 8시간 이상을 버텨낼때도 있습니다.

◇ 영하의 기온

배터리의 컨디션에 따라 영하의 날씨에 야외주차를 했는데 방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자동차 배터리 수명은 대략 4년 ~ 5년, 5만km 정도가 되는데 기한이 지났거나 과거에 방전 횟수가 3회 이상 넘어갔으면 영하의 날씨로 인해 방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배터리의 컨디션이 좋지 못하다면 겨울에는 왠만하면 지하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조등 점등

차량에서 내릴때 실수로 전조등(헤드라이트)를 켜둔다면 빠르면 1시간 안에 배터리 방전이 될수가 있습니다.최근 출시되는 자동차는 오토라이트 기능이 기본탑재 되어있어 전조등으로 인한 방전은 거의없지만 오토설정을 두지않거나 예전 차량의 경우 해당 원인으로 종종 방전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 시동끄고 배터리사용

차량에 시동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오디오를 듣거나/히터, 에어컨 작동/네비작동 등)배터리의 상태가 좋지 못하다면 30분 이내 방전이 되는 현상이 발생됩니다.배터리 컨디션이 좋다면 시동을 켜지않아도 1시간넘게는 버틸수가 있지만 되도록 짧은시간만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 배터리 수명

자동차 배터리의 수명은 4년 이후부터 급격하게 떨어지고 6년 이상이 지나면 자연방전이 되는 횟수가 늘어나게 됩니다.배터리 교체주기가 6년이 넘었고 방전이 2회 이상 일어났다면 교환을 해주는것이 불편함을 없앨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자동차 배터리 상부모습


◼︎ 차동차 배터리 방전 대처방법

◇ 보험 서비스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는 방법이 바로 가입되어 있는 자동차 보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1년에 무료 견인 횟수와 거리가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출동 서비스를 받을수가 있습니다.과거에는 차 대 차로 점프선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했지만 최근에는 경량화 되어있는 배터리팩을 이용해 간편하고 빠르게 충번 서비스를 받을수가 있어 고장 장소에 구애를 받지않습니다.


◇ 점프선 미리 챙기기

보험 서비스를 받을수 있는 여건이 안되거나 빠르게 시동을 걸어야 하는경우 다른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을 하여 충전을 할수 있도록 점프선을 미리 챙기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위치를 잘맞춰 연결을하고 상대방의 차량에 시동을 걸면 10분 내외로 바로 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한번에 시동걸기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 여러번 시동을 거는 분들이 있는데 세루모터에 무리를 주고 더욱 빠르게 방전을 시키기는 현상이 발생됩니다.한번 시동을 걸어 걸리지 않는다면 약간의 시간텀을 두고 다시한번 걸어보고 시동이 안걸린다면 출동서비스 또는 점프 작업을 해야 합니다.


◼︎ 자동차 배터리 점프순서

  • 충분한 굵기의 점프선을 준비합니다.(굵기가 너무 얇으면 충전이 안됨)
  • 양쪽 차량 모두 시동을 끕니다.
  • 정상 차량 배터리 +(빨간색)극 에 집게를 물리고 방전 차량 + 극에 집게를 물립니다.
  • 정상 차량 배터리 -(검은색)극 에 집게를 물리고 방전 차량 – 극에 집게를 물립니다.
  • 정상 차량 시동을 걸어 약 10분간 충전을 시켜 줍니다.
  • 방전 차량의 시동을 걸어 봅니다.시동이 안걸리면 좀더 충전을 하고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리면 선을 하나씩 분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