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시동끄고 헤드라이트 얼마나 켜두면 배터리 방전이 될까

실수로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잠시 켜두었을 뿐인데 배터리 방전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생각보다 헤드라이트 소비전력이 높기 때문인데 만약 배터리의 컨디션이 좋지 못하다면 20분 이내에도 방전이 발생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BMW 자동차 헤드라이트


◼︎ 자동차 배터리 수명

통상적으로 자동차 배터리 사용년한은 4년 ~ 5년, 주행거리 5만km 내외에서 교체를 진행해 주는게 좋습니다.주행환경에 따라서 수명이 조금씩 달라지 때문에 4만km 주행거리가 도래할 때 부터 배터리 색깔창을 확인(녹색 정상)하고 테스터기가 있다면 가끔씩 전압 체크를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 헤드라이트 켜둘때 방전 시간


◇ 배터리 컨디션이 좋을때

자동차 배터를 교체한지 얼마지나지 않았다면 시동을 끄고 어느정도 헤드라이트를 켜두어도 방전의 위험이 없습니다.그대로 소비전력이 높은 특징이 있어 되도록 30분을 넘기지 않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만약 고휘도 LED 헤드라이트 램프가 적용되어 있는 차량이라면 시동을 끄고 20분을 넘어서면 간혹 방전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 주의하도록 합니다.부득이하게 헤드라이트를 오랫동안 켜두어야 한다면 시동을 20분 단위로 켜주는게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는 방법이 됩니다.


◇ 배터리 상태 안좋을때

사용기간이 4년 이상이 되거나 과거 1회 이상 방전 이력이 있다면 더욱 헤드라이트 켜두는 시간을 신경써야 합니다.방전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동을 끈 상태로 헤드라이트 ON 시간을 10분 정도 넘지기 않도록 해야하며 왠만하면 시동을 켜둔상태로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헤드라이트에 의해 배터리 전력소모가 빠르게 일어나고 시동 가능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전원이 투입되도 시동이 안걸리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 입니다.교체기간이 한참 지나고 방전이력까지 있다면 실내등, 깜빡이 등을 1시간 ~ 2시간 정도 켜두어도 방전이 되는 현상이 타나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 배터리 방전 횟수에 따른 수명감소

완전방전이 일어나면 배터리 내부 전해액 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로 인해 수명이 크게 감소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1회 방전 시 => 원래 효율의 80% ~ 90% 로 감소
  • 2회 방전 시 => 원래 효율의 70% ~ 80% 로 감소
  • 3회 방전 시 => 원래 효율의 60% ~ 70% 로 감소
  • 4회 방전 시 => 배터리 교체 요

참고로 3회 이상 방전 상태에서 헤드라이트를 켜두면(시동 끈 상태) 곧바로 방전이 되는 경우도 종종 있어 되도록 빠르게 교체를 해주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