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리하게 사용하던 트레일블레이저 HUD(헤드업 디스플레이) 가 올라오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나중에 안 사실이 고질병중 하나로 기판, 모터가 타버리면 HUD가 전혀 올라오지 않아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생기는 것 입니다.관련 수리비용과 다른 고질병 등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트레일블레이저 HUD 고장 증상
3년 정도 잘 사용하던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올라오지 않는 문제가 발생 되었는데 내부 모터가 타버린게 원인이 되었습니다.트레일블레이저 모델에서 유독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로 기판이 타는 현상이 발생된다고 합니다.
다이얼기어방식 으로 되어있어 조그만 충격으로도 HUD가 올라오지 않는 고장이 발생되는데 카페를 찾아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공간에 무언가를 올려놓거나 수납을 할때는 파손이 일어난다고 합니다.운전을 할때 주력으로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정말 불편할 수 있는 부분 입니다.
◼︎ HUD 수리비용 후기
쉐보레 모델들은 차값이 저렴한 반면 고장 수리 비용이 정말 높게 책정되는 것 같습니다.와이프가 타는 스파크 차량 앞범퍼가 파손된적이 있었는데 교체비용만 70만원이 나왔던 기억이 있습니다.현대, 기아차 였다면 40만원 ~ 50만원 정도 나왔을텐데 내심 정말 놀랐던 것 같습니다.
쉐보레 정비센터에 방문해 수리견적을 내봤는데 기판, 모터 교체를 해야했고 총 수리 비용은 140만원 나왔습니다.그것도 부품수급이 당장 안되서 3일정도 대기를 했고 이후 바로 HUD 수리를 받았습니다.
네비와 연동되어 사용하는 만큼 작동이 안되면 초행길을 가는데 정말 불편함을 많이 느끼게 되는것 같습니다.HUD가 내려가 있을때 그 공간에 무언가를 올려놓는 행동을 하면 안되고 혹시나 펨웨어 업그레이드를 안했다면 먼저 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간혹 소프트웨어 문제로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작동 안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입니다.

◼︎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주요 고질병
이번에 HUD 수리비용이 너무 높게나와 어떤 고질병이 또 있는 알아보았습니다.자잘한 것들은 빼고 큼직한 것만 간추려 정리했습니다.
◇ 샤프트 베어링 내구성
고속주행을 할때 운전석 쪽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가 있는데 샤프트 베어링의 결합 내구성이 좋지못해 발생되는 문제라고 합니다.만약 진동이 체감 된다면 되도록 빠르게 쉐보레 정보소에서 점검을 받는게 좋습니다.
◇ 배터리 연결 클립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배선 클립이 느슨해지는 문제로 인해 차량 전원이 불안정 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간단하게 클립 조임으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고 합니다.
◇ 냉각 팬
계기판상에 엔진체크등이 들어오는 사례가 있고 냉각 팬의 과부하 고장이 원인이 될수 있다고 합니다.전조증상으로 시동을켜고 일정 시간동안 보닛에서 팬이 돌아가는 소리가 과하게 발생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연료게이지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해당 증상을 겪으신 것 같습니다.연료를 가득채워도 비어있는 상태를 가르키게 되고 연료 게이지 모듈을 교체해야 고장증상이 해결된다고 합니다.